
탈탄소로 나아가야 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기후 위기를 통제할 수 없게 되었다는 데 있다.
현 추세가 이어진다면 지구는 2021~2040년 사이에 기후 위기의 티핑포인트(Tipping Point)로 여겨지는 평균 기온 1.5도 상승 시점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
p 14
우리나라의 경우 2021년 8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 중립∙녹색 성장 기본법(탄소 중립기본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으로써 세계에서 열네 번째로 탄소 중립이행을 법제화한 국가가 되었다.
p 16
에너지 생산과 사용에서 탈탄소의 길은 크게 두가지
첫째는 깨끗한 에너지를 개발해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
둘째는 과도기적인 방법으로, 화석연료를 완전히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화석연료를 깨끗하게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
p 26
우리는 화석연료 부존량이 거의 없는 탓에 필요한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해서 쓴다. 세계 4위의 석탄 수입국이자 원유 수입국. 세계 3위의 LNG(액화천연가스) 수입국. 에너지 수입 의존도 95%. 이것이 대한민국의 현주소다.
p 34
가진 자원도 없고, 수입해다 쓰려니 가격은 불안정하고, 공급도 불안하다. 이런 상황이라면 결별의 고통은 크지만 우리가 화석연료에 그렇게 연연할 필요는 없는 것 아닌가.
탈탄소 에너지 시대의 에너지 강국은 유형의 자원을 많이 가진 나라가 아니다. 혁신적인 에너지 기술과 친환경 기술 등 무형의 자원을 보유한 나라,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과 선점 능력을 갖춘 국가가 에너지 강국이 될 것이다. 에너지 시프트야말로 우리에게는 에너지 강국으로 도약할 기회의 창이다.
p 35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국가이지만, 동시게 세계에서 가장 많은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 강국이기도 하다.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 설비 용량 중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산업의 성장 속도는 독보적이다.
p 64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직접 만들어 쓰든지, 사서 쓰든지다.
직접 만들어 쓰는 방법에는 자가발전 방식과 지분 투자 방식이 있다. 자가발전 방식은 기업이 자체적으로 태양광이나 풍력발전 등의 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한 후 생산된 전력을 직접 사용하는 방식.
지분 투자 방식은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의 지분 일부를 인수하는 방식이다. 지분 투자 비중만큼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RE100 이행 실적으로 인증받을 수 있다.
p 78
‘지속 가능 발전’을 ‘미래 세대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하는 개발’이라 정의
p 92
기후변화가 지금과 같은 속도로 진행되면 현재의 어린이들은 조부모 세대에 비해 평균 3배나 많은 기후 재앙을 경험할 것으로 예측했다. 산불은 평균 2배, 홍수는 3.4배, 가뭄은 2.3배다.
p 94
우리나라의 제조업 비중은 26.9%로 세계 2위이다.
제조업 중에서도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3개 업종의 비중이 매우 높다.
CCUS(탄소 포집∙이용∙저장기술) , 소형 모듈 원자로(SMR), 수소 등에 대한 적극적인 기술 개발과 에너지 믹스 전략으로 좌초 자산을 최소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p 107
탄소 중립 과정에서 특정 산업과 종사자, 지역사회가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당하거나 낙오 또는 소외되지 않도록 해결법을 모색하는 것이 ‘공정 전환’의 핵심이다.
한국 정부 역시 공정 전환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예산을 들여다보면 그것이 잘 보이지 않는다. 2022년 탄소 중립 예산 중 공정 전환 관련 예산은 4% 정도에 불과하다.
이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제대로 직시하지 않은 조치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탄소중립으로 가는 길에 상대적으로 더 큰 전환의 고통이 예상된다. 제조업 비중이 높을뿐더러 제조업 중에서도 탄소 다배출 업종의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제조업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2050 탄소 중립이 과현 실현 가능한 목표인지에 대해서는 물론, 전환 비용 및 공정 전환에 대해서도 우려가 크다.
p 170-171, 179
내가 잘 몰랐던 대한민국의 현주소에 대해
알수있었던 책이었다
세계 4위의 석탄 수입국이자 원유 수입국
세계 3위의 LNG(액화천연가스) 수입국
에너지 수입 의존도 95%
제조업 비중은 26.9%로 세계 2위
제조업 중에서도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3개 업종의 비중이 매우 높음
모든 나라의 출발선이 같지 않다는 것을
실감했달까
우리나라를 이만큼 발전시켜왔고
현재도 경제를 이끌어나가고 있는
‘제조업’
그렇기 때문에 세계 공동 목표를 지향했을경우
더 힘들어질 수 있다는 생각을 전혀 못했다
책에서 언급되었던 다양한 개념들은
찬찬히 더 공부가 필요한 것 같다
아직은… 내가 이해하기에
내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실감했다
🥲
천천히 알아가 봅시다
들어가며 2050 탄소 중립을 위한 11가지 키워드 - Environmental Attack 환경의 역습/ Net Zero Economy 넷제로 경제/ ESG 기업 평가의 새로운 기준/ RE100 재생에너지 100/ Grid 전력망/ Youth in Aciton 행동에 나선 MZ세대/ Stranded Assets 좌초자산 / Hydrogen Society 수소사회/ Innovation of Renewable Energy 재생에너지 혁신/ Footprint Reduction 탄소 발자국 줄이기/ Transport Decarbonization 수송의 탈산소
01 탈탄소, 부의 지도를 바꾼다
02 에너지 시프트: 탄소 중립 시대의 11가지 키워드
03 탄소 중립 시대를 위한 세 가지 제언
마치며 새롭게 써 나갈 에너지의 역사
'MY TH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_ 230804 (0) | 2023.08.04 |
---|---|
[책] 기업은 누구의 것인가 _ 230625 (0) | 2023.07.04 |
[유튜브] 부를 부르는 ESG (1) | 2023.04.23 |
[유튜브] ESG가 대세가 된 이유부터 알아야 살아남는다 (0) | 2023.04.19 |
[책] 두 번째 지구는 없다 (0) | 2023.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