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94] 헤지펀드 헤지펀드(Hedge Fund)란? :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운영하는 일종의 사모펀드 : 단기이익을 목적으로 국제시장에 투자하는 개인모집 투자신탁으로, 투자지역이나 투자대상 등 당국의 규제를 받지 않고 고수익을 노리지만 투자위험도 높은 투기성 자본 :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운영하는 일종의 사모펀드로 시장상황에 개의치 않고 절대수익을 추구함 주식, 채권, 파생상품, 실물자산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해 목표 수익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펀드헤지펀드의 ‘헤지’란 본래 위험을 회피 분산시킨다는 의미이지만 헤지펀드는 위험회피보다는 투기적인 성격이 더 강함대규모 자금을 굴리는 100명 미만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파트너십을 결성한 뒤 조세피난처에(ex.카리브해의 버뮤다) 거점을 .. 더보기
[STUDY] K-ESG #K-ESGK-ESG는 한국형 ESG의 약자로,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거버넌스(Governance)의 세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이다.K-ESG는 한국기업의 ESG 경영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되었다.추진배경기업의 ESG 경영 필요성 증가기업의 ESG 경영 추진과 평가대응 애로 증가기업의 ESG 경영 추진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으나,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목표는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실천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경험과 정보 부족국내∙외 600여개 이상의 평가지표가 운영되고 있으나 개별 기업에서 각각의 평가기준, 평가방식을 파악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 구성방향기업의 ESG 경영과.. 더보기
[💰93] 한계비용 한계비용(marginal cost)이란? : 생산물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할 때 필요한 총비용의 증가분 : 한개 더 만들 때 들어가는 비용 = 한계생산비 = 생산량 증가분/ 총비용 증가분0의 생산량에서 출발하여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비용이 점차 감소하다가(규모의 경제) 어느 생산량을 지나면 점차 증가하기 시작(U자형 곡선을 그린다)총 이윤의 극대화 →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이 일치할 때까지 생산을 증가 or 감소한계수입은 생산물 한 단위를 추가로 판매할 때 얻어지는 총수입의 증가분(시장가격)이며,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이 같아지는 점에서 균형을 이룸보통의 경우 기업이 한계비용보다 가격이 낮은데도 생산을 계속 하는 경우는 없다 - 용어관련 기사(2023.8.1) http://www.snmnews.com/ne.. 더보기
[💰92] 표면금리 표면금리(coupon rate)란? : 채권의 액면가액에 대한 연간 이자지급률을 채권 표면에 표시한 것 채권은 가격이 아닌 수익률로 거래되는게 보통이다. 채권은 지급이자가 정해져 있지만 일단 발행되고 난 다음에는 시장에서 매매되면서 가격이 변하게 된다. 채권이자는 보통 액면금액에 대해서 ‘몇%’라고 정해진 금액이 일정 기일에 지불된다. 채권이자는 채권에 붙어있는 이표를 잘라내어 이를 발행기관에 제출함으로써 지급받으며, 그 이표이율을 ‘표면금리’라고 부른다. 채권을 만기상환 받을 때 액면금액으로부터 발행가격 혹은 채권시장에서의 구입가격을 뺀 만큼의 차익이 생기는데, 이것이 채권투자의 실질적인 수익이 된다. 세금계산시 원천징수 대장이 되기때문에 표면이율이 낮은 채권이 유리하다. 채권투자의 경우 표면금리에 따.. 더보기
[STUDY] ESG 사례 _ 닥터브로너스 #ESG 사례 _ 닥터브로너스 https://www.drbronner.com/pages/about Dr. Bronner's | Who We Are | Our Cosmic PrinciplesOur Cosmic Principles define our most important relationships and guide us in everything we do, from soapmaking to peacemaking - All One!www.drbronner.com 1948년 미국 뉴욕에서 설립된 천연 비누 회사 닥터브로너스는 ESG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 기업 중 하나로 환경과 사회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유명하다. 2008년 비콥(B Corp)인증을 받았다. 비콥인증은 기업의 사회적, 환경적.. 더보기
[💰91] 평가절하 평가절하(devaluation)란? : 한 나라의 통화의 대외가치가 하락하는 것 : 원화 평가절하 = 원화 가치 하락 = 환율상승 = 달러 가치 상승 한 나라의 대외적 통화 가치가 하락해 평가절하(환율 인상)되면 그 나라 통화의 대외구매력이 줄어들고 수출 상품의 외화 표시 가격도 내려간다→ 평가절하될 때 수출은 증가하고, 수입품의 가격은 증가하므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있다자국통화가치의 하락미국 달러가 평가절하 되었다 = 미국 달러의 수(외환보유액)가 늘었다미국 금리 인상 > 달러 유출 > 달러 수 줄음 > 달러가치 상승 & 원화가치 하락 > 환율 상승 - 용어관련 기사(2-23.7.5) http://m.viva100.com/view.php?key=20230705010001082 지난달 외환보유액 4.7억달.. 더보기
[💰90] 파생금융상품 파생금융상품(Financial Derivatives)이란? : 외환∙예금∙채권∙주식 등과 같은 기초자산으로부터 파생된 금융상품 : 주식과 채권 등 전통적인 금융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기초자산의 가치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상품 : 손실위험을 회피하거나 최소화하여 수익을 확보하도록 거래자에 맞게 각종 금융상품을 결합한 금융상품 파생상품(derivatives) - 기초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상품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파생상품 중에서도 주식, 채권, 외환, 상품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여 선물 또는 옵션의 형태로 가장 많이 거래됨대표적인 파생상품으로는 선도거래, 선물, 옵션, 스왑선물과 옵션 등의 파생상품은 불확실한 미래 가격변동에서 오는 리스크를 줄이는 헤지가 본래의 목적이.. 더보기
[STUDY] ESG 사례 _ 푸드로스 #푸드로스(Food Loss) 푸드로스(Food Loss)란 유통기한이 임박하거나 파손 등으로 인해 판매가치가 사라진 식품으로 인해 발생하는 낭비를 의미한다. 즉, 음식물의 낭비이다. 푸드로스는 환경오염의 원인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매립지에서 분해될 때 메탄가스를 발생시킨다. 메탄가서는 이산화탄소보다 25배 더 강력한 온실가스이다. 기후변화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있다. 푸드로스는 경제적 손실이며 이것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식품생산, 유통, 판매과정에서 발생하는 푸드로스는 연간 2조 달러의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11%에 해당하는 양의 식량을 낭비하는 것으로 식량불안과 기아를 악화시킨다. 푸드로스와 관련된 ESG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