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SC(Forest Stewardship Council)
: 산림이 손상되는 생산 방식을 막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정착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책임 관리 되는 산림 자원이 완제품에 사용된 것을 소비자가 쉽게 확인 하도록 하기 위하여 인증 제도를 만들어 전 세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따. 인증에는 산림관리(FM) 및 연계관리(CoC) 인증이 있다. 해당 인증은 목재∙종이 제품의 원자재 시장과 관련한 인증 가운데 환경적, 사회적으로 가장 공신력 있는 기준이다.
- FSC는 인증의 기준을 정하지만 직접 인증을 시행하거나 인증서를 발급하지 않는다. 전 세계 40여 개의 독립적인 인증기관이 FSC 인증을 수행하며, 이들 인증기관은 ASI website에서 검색 가능하다.
https://www.asi-assurance.org/s/map
ASI | Assurance Services International
We are an assurance partner for leading voluntary sustainability standards and initiatives. We help bring your sustainability intentions to life.
www.asi-assurance.org
- 숲에서 소비자까지
FSC 라벨은 그 제품에 사용된 산림 자원이 책임 있게 조달 되었다는 것을 확신하게 해준다. FSC 라벨을 제품에 인쇄하거나 FSC 인증 제품이라고 주장하려면 FSC 인증 숲에서 나온 목재를 사용할 뿐 아니라 이후 이를 무역, 가공, 변형, 제조(예: 분할, 제조, 재포장, 팩 분할, 라벨작업, 크기변형, 제품에 산림자원 요소를 추가)하여 완제품이 생산되기까지 원자재의 법적 소유권이 바뀔 때 마다 소유했던 모든 회사는 FSC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인쇄 업체가 인증을 받지 않았다면 FSC인증 용지를 구매하여 인쇄를 했더라도 그 제품을 FSC 인증 제품이라 할 수 없으며 FSC 로고나 라벨을 제품에 표시할 수 없다.

- FSC 현황

우리나라의 경우 산림관리(FM) 인증은 1개소, 연계관리(CoC) 인증은 665개소가 있었다
- 안내 브로셔
https://kr.fsc.org/sites/default/files/2021-10/FSC브로셔%20%28일반%29.pdf
- FSC 코리아 홈페이지
https://kr.fsc.org/kr-ko
'지식ST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 UNFCCC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 협약 (0) | 2023.04.27 |
---|---|
[유튜브] 북토크 _ 책임지는 경영자, 정의로운 투자자 (0) | 2023.04.24 |
[유튜브] 알아야 살아남는다?! 기업 생존전략 ESG 경영투자 - ‘한 권으로 끝내는 ESG 수업’ 김미경의 북토크 (0) | 2023.04.22 |
[인물] 그레타 툰베리 (0) | 2023.04.21 |
[지식] IPCC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0) | 2023.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