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책임지는 경영자 정의로운 투자자, 김민석
https://m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504260629?
책임지는 경영자 정의로운 투자자 : 네이버 도서
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북토크]
- ESG의 의미와 역사는 ?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비재무적 성과를 판단하는 기준. 투자자 관점에서 지속가능 경영 수준을 평가한 것
2005년 UN에서 ESG를 공식적으로 논의 시작 - 돈을 옳은 방향으로 벌고, 쓰자 → 2006년 유엔 책임투자원칙(UN PRI) 선언
금융기관의 선언으로 ESG 대중화 시작 - 자산 운용 회사 중 세계 최대 규모의 ‘블랙록’(운용 자산 규모 약 1경 원) 2018년 ‘지속가능성’을 보고 투자하겠다 선언
- 투자자 입장에서 ESG 는 ?
과거의 투자 기준은 ‘재무적 성과’, 지금은 ESG 같은 ‘비재무적 요소’도 함께 고려해야 우리의 돈을 손해보지 않을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
재무적 성과보다 신뢰적 성과가 중요
* 나이키 사례 → 환경 뿐 아니라 사회적 문제도 재무적 성과에 영향
사회(Socail)영역의 주요 항목 - 인권 존중, 사회적 약자 보호, 직장 내 인권
1996년 아동노동으로 비난 받은 나이키 → 2년간 소비자 불매운동 지속
- 현재의 ESG 추세와 디지털 기술 발전과의 관계는?
ESG에 대한 개념이 나온 것은 2005, 2006년도. 하지만 대중화가 시작되고 관심이 몰리기 시작한 것은 약 2018년 이후, 그 사이 10~15년의 공백이 있는데 왜 그럴까?
그 동안 기업들은 정보를 일부러 공개를 안한다던가 하는 방법으로 숨겼고, 사람들은 관련된 정보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but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기업의 정보가 투명해졌다
- MZ세대에게 있어서 ESG 는?
소비자도 결국은 투자자
‘좋음’이 아닌 ‘옳음’을 따라야 하는 시대
‘좋은 것’은 ‘옳은 것’을 바탕으로 한다
MZ세대는 가치소비를 우선으로 한다
- 영세업자들은 가능할까?
중소∙중견 기업을 위해 정부 ESG 경영, 교육, 컨설팅 지원 계획
아는 것이 시작이다 → 교육이 우선
상태 파악 및 개선을 위해 ESG 교육은 필요하다
- ESG 에서 기후변화란?
탄소중립이란? 배출되는 탄소와 흡수되는 탄소량을 같에 해 탄소 ‘순배출이 0’이 되게 하는 것
- ESG 경영을 잘하는 기업을 선택하는 ‘정의로운 투자자’가 많아지면, 지속가능성을 위해 옳음을 선택하는 ‘책임지는 경영자’가 늘어나고, 이 과정을 통해 ‘정의로운 자본주의’를 만들어가자
👩🦰
슬슬슬슬 개념이 어렵지만은 않게 다가오는 것 같다
'지식ST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생활속의 실천] 텀블러 사용 (0) | 2023.07.19 |
---|---|
[지식] UNFCCC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 협약 (0) | 2023.04.27 |
[유튜브] 알아야 살아남는다?! 기업 생존전략 ESG 경영투자 - ‘한 권으로 끝내는 ESG 수업’ 김미경의 북토크 (0) | 2023.04.22 |
[인물] 그레타 툰베리 (0) | 2023.04.21 |
[지식] FSC 인증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