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STUDY 썸네일형 리스트형 [💰9] 공급탄력성 공급탄력성(elasticity of supply)이란? :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공급의 변화율 : 가격이 몇 % 변동할 때 그에 대한 공급량이 몇 % 변화하느냐를 나타내는 배율 : 상품 가격이 변화면 상품 공급량 변화가 얼마나 민감한지 나타내는 지표 : 가격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반응도(공급량 변화율 / 가격변화율) 탄력도 >1 (가격이 1% 상승했을때, 공급도 1%이상 상승) → 탄력적 (ex. 공산품, 제조품)탄력도 < 1 (가격이 1% 상승했을때, 공급이 1%이하 상승) → 비탄력적 (ex. 과일, 농수산물)공급의 탄력성의 크기는 생산능력에 얼마만큼 여유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상품의 공급량은 보통 그 상품의 가격에 의존가격이 상승 → 공급량 증가/ 가격이 하락 → 공급량 감소공급의 탄력성은 근본적으.. 더보기 [💰8] 공공재 공공재(public goods)란? = 집합재 collective goods :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 → 국방∙경찰∙소방∙공원∙도로 등 : 정부의 재정으로 공급된 재화나 서비스 : 공공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재화와 서비스 : 사회 모든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재화이기는 하나 그 재화가 갖는 몇가지 속성 때문에 시장기구를 통하여 공급하기 어려운 공익성을 띤 재화 : 개인이 생산과정에 참여하지 않지만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혜택을 얻을 수 있는 것 시장의 가격원리가 적용되지 않음대가를 지불하지 않고도 재화나 서비스 이용 가능(비배제성)사람들이 소비를 위해 서로 경합할 필요가 없음(비경쟁성)시장가격은 존재하지 않으며, 수익자 부담의 원칙도 적용되지 않음자유시장에 공급을 맡겨두면 .. 더보기 [💰7] 골디락스경제 골디락스(Goldilocks) 경제란? :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인 경제상황 → 물가상승에 대한 큰 부담없이도 실업률 하락, 소비 확대, 주가 상승, GDP 성장 등을 실현할 수 있음 : 고성장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상승하지 않는 이상적인 경제 상황 영국의 전래동화 ‘골디락스와 세마리 곰’에서 유래 → ‘적당한 것’을 찾는 소녀의 행동UCLA 앤더스 포캐스트의 수석 경제학자 슐먼(David Shulman)이 처음으로 사용우리나라 IMF 전/ 미국 닷컴버블 터지기 전(1990년대 후반/ 중국 2004년도 - 용어 관련기사(2023.4.29) https://naver.me/Fv7PVerZ 금도끼 줄까 은도끼 줄까…아님 구리? [코주부]독자님, 귀금속에 관심 좀 있으세요? 요즘 귀금속 및 광물 시장이 호.. 더보기 [💰6] 고통지수 고통지수란?(경제고통지수, Econmic Misery Index) : 고통의 정도를 지수화하여 숫자로 표현한 지표 : 특정한 기간동안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수치 →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 삶의 어려움을 계량화해서 수치로 나타낸 것 : 소비자물가상승률 + 실업률 (by 미국 경제학자 오쿤, 1975) 나라별로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계산하는 기준과 국민들이 느끼는 고통의 정도가 달라서 단순비교를 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같은 기준이 적용되는 국내 지역별 경제활동고통지수는 파악이 가능하다. - 관련기사(2023.4.21)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458378 “경제고통지수 1% 오르면 강도 9.4% 증가“ 절도 범죄도 3.8% 늘어 실직자 보호정책.. 더보기 [💰3] 경상수지 경상수지(balance on current account)란 ? : 국가 간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 자본 노동 등 생산요소의 이동에 따른 대가의 수입과 지급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 ‘국제수지’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국제수지 = 경상수지(상품수지/서비스수지/소득수지/경상이전수지 등) + 자본수지자본수지 : 재화∙용역의 주고받음 없이 외국에서 빚을 얻어오거나 빌려준 것을 수치화한 것 - 외국인의 국재주식∙채권 매입,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 직접투자, 외상 수출입에 따라 발생하는 채권∙채무 등에 따른 자본의 유출입차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 수지 등으로 구분됨- 상품수지(무역수지): 물건을 수출∙수입한 내역- 서비스수지: 외국과의 서비스 거래 결과 벌어 들인 돈과 지급한 돈의 수지차.. 더보기 [💰5] 고정금리 고정금리(fixed interest)란? : 상품에 가입한 기간 동안 시중 금리가 아무리 큰 폭으로 변하더라도 이자율이 변하지 않는 것 : 대출을 실행할 때 처음에 정한 금리가 상환만기때까지 유지되는 것변동금리란? : 적용되는 이자율이 가입기간 중에 계속 변하는 것 : 분기별과 같이 일정 주기별로 시장금리를 반영하여 변화하는 것 → 돈을 빌리는 입장에서 금리가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된다면 고정금리, 기준금리가 떨어질거라고 보인다면 변동금리를 선택 ! → but ‘은행 여신거래 기본약관‘에 따른 ’고정금리‘의 기준은 ‘채무의 이행을 완료할 때까지 은행이 그 율을 변경할 수 없음을 원칙으로 하는 것’이므로, 은행은 국가 경제사정이나 금융환경의 변화를 이유로 고정이자도 바꿀 수는 있다 ! → 대출기간을 잘 살펴.. 더보기 [💰4] 고용률 고용률이란?15세이상 인구 중 취업자의 비율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취업 인구 비율이라고도 불리며, 실질적인 고용창출능력고용률은 실업률 통계에서 제외되는 비경제활동인구 수를 포함해 계산하므로 구직을 단념했거나 노동시장에 빈번히 들어오고 나가는 반복실업 등에 의한 과소 추정의 문제를 해결실업률 = 실업자 수/ 경제활동인구 실업률은 통계 작성 시 실망실업자와 같이 구직활동을 지속하다 취업될 가망성이 없다고 판단해서 스스로 취업을 포기한 사람을 경제활동인구에서 제외함 → 실제보다 실업률이 과소 추정 - ‘고용률’ 관련기사 https://naver.me/5D3Jl91p "프랑스, 노동개혁 이후 실업률↓ 고용률 ↑…韓도 규제 풀어야"프랑스가 고용유연성을 제고하고 규제를 완화하는 노동개혁으로 노동시.. 더보기 [💰2] 경기동향지수 경기동향(확산)지수(diffusion index)란? : 복잡한 경제활동 전체를 ‘경기’로서 파악하기 위해 제품∙자금∙노동 등에 관한 많은 통계를 정리∙통합해서 작성한 지수 :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부분으로부터 시작되어 점차 전체 경제부문으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부문을 대표하는 각 지표들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하는 지표 경기(경제의 기운)가 확산세의 방향인지 수축세의 방향인지 알려주는 지수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소비, 생산 등 다양한 경제활동에 관한 중요하고도 경기에 민감한 지표를 모으고, 현내의 경기의 변화∙ 방향에 의해 경기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 - 용어관련 기사(2023.1.26) .. 더보기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