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STUDY 썸네일형 리스트형 [💰17] 기축통화 기축통화(key currency)란? : 국제간의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되는 통화 : 국제외환시장에서 금융거래 또는 국제결제의 중심이 되는 통화 금본위제 이후의 금환본위제도 아래에서 금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국제금융의 중심이 되고 있는 특정국의 통화를 금에 대신하는 환으로 사용현재 기축통화로 취급되는 통화는 미국의 달러화(20세기 초반까지는 영국의 파운드화)군사적으로 지도적인 입장에 있어 전쟁으로 국가의 존립이 문제시 되지 않아야 하며, 기축통화 발행국은 다양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통화가치가 안정적이며, 고도로 발달한 외환시장과 금융 · 자본시장을 갖고 있어야 하며, 대외거래에 대한 규제도 없어야 함제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미국의 군사력이 앞서나가게 되자 미국은 달러를 중심(기축)으로.. 더보기 [💰16] 기준금리 기준금리(Base rate)란? :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 : 한국은행의 최고 결정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의를 통해서 결정하는 금리 : 중앙은행이 다른 금융기관과 거래할 때 기준으로 삼는 정책금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동향,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시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연 8회 기준금리 결정2008년 3월부터 정책금리를 기준금리로 바꿈 → 7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금리 기준환매조건부채권(RP, re-purchase) 매매 : 금융기관이 단기간 자금을 융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채권을 일정기간 두고 다시 매입하는 조건으로 매도하는 것. 금리 상승기에 많이 하는 투자상품 중 하나인데, 예금자보호대상에서 제외되다보니 이론상으로는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는 금융상품 중 그나마 덜.. 더보기 [💰15] 기업공개 기업공개(IPO, Initial Public Offering)란? : 기업이 일정 목적을 가지고 자사의 주식과 경영내용을 공개하는 것 : 개인이나 소수의 주주에 의하여 설립되었던 회사가 일반 대중에게 회사의 주식을 매출하거나 모집하여 소유 지분을 개방하는 일 : 자본의 공개 = 기업경영의 전반적인 정보를 일반에게 공시 : 넓은 의미로는 기업의 전반적 경영 내용을 공개하는 것, 좁은 의미로는 주식을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분산 매각하는 것 목적 - 기업에서 자금조달을 원활히, 재무구조 개선, 국민의 기업참여 활발,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혜택 - 주식가치의 공정한 결정, 세제상 혜택, 자금조달능력 증가, 주주의 분산투자 촉진 및 소유분산일정 규모의 기업이 상장절차 등을 밟기 위해 행하는 외부 투자자들에 대한 첫 .. 더보기 [💰14] 금산분리 금산분리(Separation of Industrial and Financial Capital)란? :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분리 : 금융자본(은행업)과 산업자본(제조업)이 상대 업종을 소유∙지배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 : 금융자본인 은행과 산업자본인 기업 간의 결합을 제한하는 것 금산분리법은 하나의 법률이 있는 건 아니고 공정거래법이나 은행법, 금융지주회사법에 나뉘어져 있음금산분리 원칙 하에서는 기업이 은행의 주식을 일정 한도 이상 보유하거나, 은행 등 금융회사가 기업의 주식을 일정 한도 이상 보유하는 것이 금지대기업과 같은 산업자본이 자기자본이 아닌 고객의 예금으로 금융산업을 지배하는 것을 막고자 함but 산업자본의 금융참여 제한은 외국계자본의 국내 금융 산업 지배현상을 심화보험지주회사나 금융투자지주회사.. 더보기 [💰13] 금본위제 금본위제(gold standard)란? : 금을 근본으로 하는 화폐제도 : 물건을 사고 팔 때 대금을 금으로 지불하던 시대의 통화정책 : 화폐단위의 가치와 금의 일정량의 가치가 등가관계를 유지하는 본위제도 : 순금 1온스 = 391.20달러(1993년)라는 식으로 통화의 가치를 금의 가치에 연계시키는 화폐제도 : 화폐 한 단위의 가치가 일정량의 금 가치에 결부되어 있는 화폐제도 역사적으로 19세기에 영국을 중심으로 발전세계 여러나라의 화폐(통화)가치를 정해진 순금의 중량으로 정해놓고 금화를 통해 지폐처럼 교환할 수 있도록 만든제도로 금화를 찍어내는 것도 자유로웠고 수출입도 허용됐었다.(전형적인 고정환율제도)금화본위제(gold coin standard) - 금의 자유주조 및 용해, 수출입의 자유가 인정되는.. 더보기 [💰12] 국채 국채(government bond, National Debt)란? : 일정시점에서 한 나라 정부가 지고 있는 빚의 총액 : 총 채무 잔고 : 중앙정부가 자금조달이나 정책집행을 위해 발행하는 만기가 정해진 채무증서 :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 중요한 국가 재원의 하나 : 국가나 공공단체가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지는 빚 인플레이션이 발생되지 않게 하면서도 국가가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국채를 발행국채 발생은 금리인상과 더불어서 시중의 돈을 회수하는 역할(국채법 제4조) 국고채권(국고채),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국민주택채권 1,2종정부의 재정지출이 증가하거나 조세수입이 감소하면 재정적자가 늘면서 국가의 총채무잔고가 증가하고 국채가 증가한다금리가 상승할 때, 국채는 똥값… .. 더보기 [💰11] 국가신용등급 국가신용등급(sovereign credit ratings, country risk)이란? : 한 국가가 국제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적용하는 신용도 : 한 나라가 채무를 이행할 능력과 의사가 얼마나 있는지를 등급으로 표시한 것 : 국채의 신용등급 해당 국가의 기업 및 금융기관 등 민간기관의 신용 등급을 판정하는 기준재정∙ 경제적 조절능력과 채무규모가 고려재정적 조절능력 - 증세가능성, 재정지출 축소 가능성경제적 조절능력 - 혁신, 경쟁력, 산업경쟁력 등을 고려한 지표채무규모 - 실물경제, 기준금리 등을 고려해 건전성 평가신용등급이 높을수록 낮은 금리를 적용하여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하거나 차관을 들일 수 있다국가의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3대 기관 -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무디스(MCO.. 더보기 [💰10] 공매도 공매도(Short stock selling)란? : ‘없는 것을 판다’라는 뜻으로 주식이나 채권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주문을 내는 것 :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없는)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 : 향후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실제로 하락하면 싼값에 되사들여(쇼트커버링 short covering) 빌린 주식을 갚음으로써 차익을 얻는 매매기법 무차입공매도(naked short selling) - 현재 갖고 있지 않는 주식을 미리 판 후 결제일 이전에 시장에서 해당 주식을 다시 사서 갚는 방법차입공매도(covered short selling) - 제3자로부터 주식을.. 더보기 이전 1 ··· 8 9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