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ik2CJ/btsnsegDHd1/sxFmKqFtdUcSQJ2bLy2n0k/img.png)
정크본드(junk bond)란?
: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고위험∙고수익 채권
: 성장성은 있으나 신용등급이 낮은 중소기업이 발행한 채권이나 M&A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 채권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
- 쓰레기 같은 채권?!!
- 일반적으로 기업의 신용등급이 아주 낮아 회사채 발행이 불가능한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로 ‘고수익채권(high-yield bond)’ 또는 ‘열등채(low quality bond)’라고 부름
- 신용도가 낮은 회사(무디스의 신용등급 Ba1이하, S&P의 신용등급 BB이하)가 발행한 채권으로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불이행 위험이 큰 만큼 이자가 높음
- 1970년대 미국 정크본드 시장의 대부로 불렸던 마이클 밀켄Michael Milken이 하위등급 채권을 ‘정크’라고 부른 데서 유래
- 용어관련 기사(2023.6.14)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908972
‘역대급’ 짧아진 美 정크본드 만기… 자금시장 디폴트 급증 우려↑
미국 투기등급 채권(정크본드)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가 커지는 등의 이유로 이들 채권의 평균 만기가 사상 최단기 수준으로 짧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의 12일(현지 시각) 보도
n.news.naver.com
(발췌) 미국 투기등급 채권(정크본드)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가 커지는 등의 이유로 이들 채권의 평균 만기가 사상 최단기 수준으로 짧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의 12일(현지 시각) 보도에 따르면, 정크 본드의 평균 만기는 5.18년으로 이는 블룸버그가 하이일드 기업지수를 추적하기 시작한 지난 1987년 이후 가장 짧았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이에 비해 투자등급 채권의 평균 만기는 11년이다.
크리셰프는 이처럼 만기일이 짧아진 것은 정크본드 발행시장의 전반적인 둔화와 단기어음에 대한 수요 증가 때문이라면서 시장에서는 금리 급등에 따른 리스크로 인해 채권 발행 대신 다른 자금조달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용어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76] 주가수익률(PER) (0) | 2023.07.15 |
---|---|
[💰75] 제로금리정책 (0) | 2023.07.14 |
[💰73] 전환사채 (0) | 2023.07.12 |
[💰72] 장외시장 (0) | 2023.07.11 |
[💰71] 장단기금리차 (0) | 2023.07.10 |